이전 포스팅에서 의료 통역 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들을 총정리한 바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중에서도 의료인 관련 단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주치의와 전문의
미국에서 의사는 크게 주치의인 PCP와 전문의인 specialist로 나누어진다. 그 중에서 PCP는 primary care provider의 약자인데 한국어로는 주치의라는 뜻이다. primary care physician이나 primary care doctor, family doctor 모두 주치의를 이르는 말이다. 미국에서 주치의는 환자의 첫 접점이 되는 의사로 건강검진, 감기, 만성질환 관리 등을 담당한다.
반면, 전문의인 specialist는 특정 질환이나 신체 부위에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의사를 뜻한다. 예를 들어 심장 전문의는 cardiologist, 신경과 전문의는 neurologist, 비뇨기과 전문의는 urologist, 이비인후과 전문의는 ENT doctor, 안과 전문의는 ophthalmologist, 정신과 전문의는 psychiatrist, 피부과 전문의는 dermatologist라고 한다. 이전 포스팅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일반적인 경우 주치의가 진료의뢰서인 referral을 써주면 이를 통해 전문의 예약을 잡는 경우가 많다.
전문의 중에서도 외과적인 수술을 담당하는 의사를 surgeon이라고 한다. 외과의인 surgeon은 분야에 따라 세부적으로 구분되는데, 예를 들어 일반외과 의사는 general surgeon, 정형외과 의사는 orthopedic surgeon, 신경외과 의사는 neurosurgeon이라고 한다.
간호사의 종류와 역할
간호사도 교육과 자격, 의료 현장에서의 역할에 따라 다양한 명칭이 있다.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간호사가 자신을 RN, 즉 registered nurse라고 소개하는 경우가 많다. 정식 간호사 면허를 가진 등록 간호사라는 뜻인데,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간호사가 하는 일을 이 등록 간호사가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따라서 간호사라고 통역해도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현장에서의 역할에 따른 표현 중 간호사와 관련하여 자주 들을 수 있는 단어에는 advice nurse와 triage nurse가 있다. advice nurse는 상담 간호사라고 하며 주로 원격 진료를 통해 환자 문의에 대응하고, triage nurse는 분류 간호사 또는 응급 환자 분류 간호사라고 하며 응급실 등에서 환자 상태를 분류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역할을 맡는다.
임상간호사(NP)와 의사 보조(PA)
또한, 미국에는 정식 의사는 아니지만 의사와 비슷하게 진단을 내리고 약을 처방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nurse practitioner와 physician assistant이다. NP, 즉 nurse practitioner는 임상간호사라고 하며, 환자 중심의 간호사 교육을 기반으로 한다. PA, 즉 physician assistant는 의사 보조라고 번역할 수 있으며 의사와 비슷한 일반적인 의학 교육을 기반으로 한다. 두 직군 모두 의사와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지만, 상당한 기간의 교육과 현장 경험을 갖추어야 하는 전문 인력으로, PCP로서 1차 진료를 담당할 수 있다.
의료인을 통칭하는 단어
의사를 포함한 의료인 등을 통칭하는 단어에는 clinician 또는 provider가 있다. Clinician은 임상의라고 번역할 수 있으며, 직접 환자를 진료하는 사람을 총칭한다. 여기에는 의사, NP, PA뿐 아니라 물리치료사(physical therapist, PT), 작업치료사(occupational therapist, OT), 영양사(dietician), 언어치료사(speech therapist) 등도 포함된다.
Provider는 의료 현장 이외에서도 사용되는 제공자라는 단어이지만, 의료 현장에서 provider라고 하면 의료 서비스 제공자(healthcare provider)를 통칭하는 말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료 서비스 제공자에는 의사나 PT, OT 등 뿐 아니라 마사지 치료사(massage therapist)나 약사 보조(pharmacy technician), 그리고 의료 산업에 종사하는 비의료 직종 등이 모두 포함된다. 한편, 오직 의사에만 적용되는 단어에는 physician이 있으며, 이 단어의 적용 범위는 clinician이나 provider에 비해 훨씬 좁다.
이러한 단어를 정확히 구분해두는 것은 의료 통역에서 특히 중요하다. 예를 들어 “I will let the provider know”나 “You need a referral from a clinician”처럼 구체적인 대상이 명시되지 않은 문장이 자주 등장하기 때문이다. 각 단어가 포괄하는 범위와 뉘앙스를 이해하고 있으면, 누구를 가리키는지 빠르게 파악해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
의료인과 관련된 기타 단어
그 밖에도 medical assistant는 의료 보조라고 하며 행정적·지원 업무를 담당하고 직접 진료는 하지 않아 clinician 범위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통역을 시작하는 사람에게 생소할 수 있는 또 한 가지 표현은 attending이다. Attending doctor는 주로 큰 병원에서 레지던트를 지도하는 책임자 급의 전문의를 가리킨다. 그래서 레지던트가 “I’ll talk to my attending”이라고 하면 자신을 지도하는 전문의와 상의하겠다는 뜻이라고 보면 된다.
또한, 입원 환자를 돌보는 medicine doctor라는 표현도 낯설 수 있다. 병원에 입원한 환자는 여러 복합적인 상황이 있는 경우에 여러 의사로 이루어진 팀을 통해 진료를 받게 되는데, 그중에서 환자의 주치의 역할을 하는 사람이 medicine doctor이다. medicine doctor를 뜻하는 다른 단어는 hospitalist인데, 이는 입원 전문의 또는 병원 의사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맺는 말
의료 통역 현장에서 자주 등장하는 의료인을 가리키는 단어들은 단순히 단어만 외우기보다, 직군별 역할과 호칭의 차이를 이해하면 현장에서 훨씬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통역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 다룬 표현들을 익혀두면 진료 안내, 예약, 병원 내 대화 등에서 해당 표현이 누구를 지칭하는지를 빠르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https://medlineplus.gov/ency/article/001933.htm
https://www.verywellhealth.com/types-of-doctors-residents-interns-and-fellows-3157293


Leave a Reply